대전역세권개발사업이 도심융합특구와 혁신도시, 복합2구역 민자개발, 쪽방촌 뉴딜, BRT복합환승센터, 재개발, 서광장 리뉴얼까지 더해지면서 몸집을 키운 가운데, 고밀개발을 위한 밑그림이 어떻게 그려질지 이목이 쏠린다.
각각 사업마다 수천억 원을 투입하는 대형사업이고 단독으로 추진될 경우 중구난방이 될 수 있어 역세권개발에 묶인 다수의 사업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대전시의 적극적인 핸들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심융합특구는 올해 용역에 착수해 내년도 상반기쯤 세부 계획을 담은 틀이 나온다. 혁신도시 시즌2는 정부만이 답을 알고 있기에 기다림이 필요하고, 복합2구역은 민자개발로 한화 컨소시엄과 한국철도공사가 주력으로 맡는다.
쪽방촌 뉴딜과 정동과 소제동 인근 재개발은 큰 계획은 나왔지만, 세부적인 조율과 역세권개발 테두리에서 색과 궤를 같이해야 하기 때문에 대전시의 역량이 더해져야 한다.
여기에 또 하나 관심을 끄는 건 ‘대전~오송 광역BRT 복합환승센터’다. 해당 부지는 역세권에서도 대전역 동광장이라는 점에서 핵심적인 노른자 땅이다. 위치는 동구 소제동 291-1번지 일대로 1만4555㎡ 규모다. 애초에는 주차면 666면과 지하 2층 지상 1층으로 계획했다. 총사업비는 218억 원으로, 이 가운데 올해 국비 10억 원을 확보한 상태다.
대전역과의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복합환승센터 위치는 적절하다. 하지만 이 노른자 땅을 주차장과 버스 정류장으로만 활용한다는 점은 아쉽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동광장에서 바라본 대전역세권 조감도. |
장철민(대전 동구) 국회의원은 지난 1월 동구 정책간담회에서 “지금 예산 계획으로는 지상 1층과 지하 2층으로 정말 환승 내용만 담겼다. 금싸라기 땅에 버스와 택시만 있는 곳으로 만든다면 앞으로 수십 년간 우리 스스로가 납득하지 못할 것”이라며 “허 시장님과도 구체적으로 사업내용과 재원조달 방안을 협의해보자고 얘기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전시도 고민이 깊어졌다. 복합환승센터 단일 사업으로 부지를 사용하기엔 토지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확보된 예산은 말 그대로 복합환승센터 조성만을 위한 예산이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사업이 추가된다면 예산 확보는 필요하다. 그러나 사업성을 담보하지 않는다면 공공이든 민간이든 참여가 어렵다는 점이 난제로 꼽힌다.
대전시 관계자는 “고밀개발을 검토 중이고, 여러 기관에서 세부적인 계획을 제안하기도 했다. 가장 큰 문제는 알다시피 예산 확보인데, 국비를 지원받을 것이냐, 민간개발을 추진할 것이냐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국비는 대전시의 부담이 덜해지지만 250억 원 이상부터 예타 대상이 되기 때문에 사업성을 완벽하게 갖춰야 한다. 단일 사업으로는 어렵고 몇 가지 사업을 꾸려 도전해야 하는데 예비타당성 검토 등을 거치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게 단점이다. 그나마 민간개발이 쉬운 길이지만 대체로 땅을 매입해 소유하는 것을 원하는 기업 특성상 이마저도 지름길은 아닐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예산 확보 방향이 어찌 됐든 복합환승센터 부지는 주변을 활성화하는 공간이 될 전망이다. 일자리가 될 수도 있고, 창업센터 또는 교육허브 등이 밀집된 곳으로 사업성을 최대한 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세부 계획안.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